선 출발 후 수습

2025년 5월 호주 모기지 이율 전망: RBA 금리 인하와 부동산 시장의 미래 본문

경제적 자유, 시간적 자유

2025년 5월 호주 모기지 이율 전망: RBA 금리 인하와 부동산 시장의 미래

송닷컴닷아유 2025. 4. 26. 16:23
반응형

 

 

 

 

 

 

현재 호주 주요 은행 모기지 이율

호주 중앙은행(RBA)의 기준금리가 2025년 2월 4.35%에서 4.1%로 25bp 인하된 이후, 주요 은행의 모기지 이율도 조정되었습니다. 아래는 2025년 4월~5월 기준 주요 4대 은행(CBA, Westpac, ANZ, NAB) 및 맥쿼리 은행의 모기지 이율입니다. (정확한 이율은 은행별 상품, 대출 조건, 신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변동금리 (Variable Rate):

  • Commonwealth Bank (CBA): 약 5.8% ~ 6.3% (기존 6.0%~6.5%에서 소폭 하락)
  • Westpac: 약 5.9% ~ 6.4% (기존 6.1%~6.6%에서 조정)
  • ANZ: 약 6.0% ~ 6.5% (기존 6.2%~6.7%에서 하락)
  • NAB: 약 5.8% ~ 6.3% (기존 6.0%~6.5%에서 하락)
  • Macquarie Bank: 약 5.7% ~ 6.2% (경쟁력 있는 변동금리 상품 제공)

참고: RBA의 2월 25bp 인하와 5월 추가 인하 기대감으로 변동금리가 소폭 낮아짐.

고정금리 (Fixed Rate, 2~3년 기준):

  • CBA: 약 5.6% ~ 6.1% (기존 5.8%~6.3%에서 하락)
  • Westpac: 약 5.7% ~ 6.2% (기존 5.9%~6.4%에서 조정)
  • ANZ: 약 5.7% ~ 6.1% (기존 5.9%~6.3%에서 하락)
  • NAB: 약 5.6% ~ 6.0% (기존 5.8%~6.2%에서 하락)
  • Macquarie Bank: 5.19% (2년/3년 고정, 시장 최저 수준, 기존 대비 20bp 인하)

참고: 맥쿼리를 포함한 18개 은행이 고정금리를 인하하며 시장 경쟁이 치열해짐.

평균 모기지 이율:

  • 변동금리: 약 5.8% ~ 6.3% (기존 6.0%~6.5%에서 하락)
  • 고정금리: 약 5.4% ~ 6.0% (맥쿼리 5.19%가 최저, 기존 5.8%~6.4%에서 하락)

5월 20일 RBA 기준금리 25bp 인하 전망

배경:

  • 글로벌 무역전쟁(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경제 불확실성 증가.
  • 1분기 근원 인플레이션(트림 평균)이 2.8%로 RBA 목표 범위(2~3%) 안착 예상.
  • Westpac, CBA 등 주요 은행 및 전문가(Luci Ellis 등)가 5월 25bp 인하를 기정사실로 전망.
  • NAB는 50bp 인하 가능성 제기, 그러나 CBA(Harry Ottley)는 50bp 인하를 위해선 CPI 0.5% 이하 및 실업률 급등 필요하다며 회의적.
  •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로 25bp씩 점진적 인하가 더 가능성 높음.

예상 기준금리:

  • 5월 20일 회의에서 4.1% → 3.85% (25bp 인하).
  • NAB의 공격적 전망: 50bp 인하 시 3.6%까지 하락 가능.

모기지 이율에 미치는 영향

  • 변동금리: 25bp 인하 시, 주요 은행 변동금리 약 5.5% ~ 6.0% 수준으로 추가 하락 예상. 50bp 인하 시 5.3% ~ 5.8%까지 가능.
  • 고정금리: 은행 간 경쟁으로 고정금리 추가 인하 가능. 맥쿼리(5.19%)를 필두로 5.0%~5.5% 수준 상품 등장 가능.
  • 월 상환액 감소:
  • 예: 60만 AUD 대출, 이율 6.0% → 5.75% 하락 시 월 상환액 약 89 AUD 절감.
  • 50bp 인하(6.0% → 5.5%) 시 약 178 AUD 절감.

앞으로의 모기지 이율 움직임 예상 (2025~2026년)

최신 데이터를 반영해 2025~2026년 전망을 업데이트합니다.

주요 은행 및 전문가 전망

Westpac (Luci Ellis):

  • 5월 25bp 인하 후 2025년 내 추가 2회(총 50bp) 인하.
  • 2025년 말 기준금리: 약 3.35%.
  • 모기지 이율: 변동 5.3%~5.8%, 고정 5.0%~5.5%.

CBA (Harry Ottley):

  • 5월 25bp 인하 확정, 2025년 말 기준금리 3.35%~3.6%.
  • 모기지 이율: 변동 5.3%~5.8%, 고정 5.0%~5.5%.
  • 50bp 인하는 낮은 확률( CPI < 0.5% 및 실업률 급등 필요).

ANZ (Adam Boyton):

  • 글로벌 성장 둔화로 5월 25bp 인하 후 점진적 인하.
  • 2025년 말 기준금리: 약 3.6%.
  • 모기지 이율: 변동 5.4%~5.9%, 고정 5.1%~5.6%.

NAB:

  • 5월 50bp 인하 가능성, 2026년 2월까지 기준금리 2.6%.
  • 모기지 이율: 변동 4.8%~5.3%, 고정 4.5%~5.0% (가장 낙관적).

Macquarie Bank:

  • 고정금리 5.19%로 시장 선도, 추가 인하 경쟁 가능성.
  • 2025년 말 변동금리 5.2%~5.7%, 고정 4.9%~5.4% 예상.

예상 시나리오

기본 시나리오 (25bp 인하, 점진적 추가 인하):

  • 5월 25bp 인하(3.85%) 후 2025년 내 2~3회 추가 인하.
  • 2025년 말 기준금리: 3.35%~3.6%.
  • 모기지 이율: 변동 5.3%~5.8%, 고정 5.0%~5.5%.
  • 영향: 월 상환액 감소, 부동산 시장 수요 증가, 주택 가격 4~6% 상승 가능.

낙관적 시나리오 (50bp 인하, 공격적 인하):

  • NAB 전망대로 5월 50bp 인하(3.6%) 후 2026년 2월까지 2.6%.
  • 모기지 이율: 변동 4.8%~5.3%, 고정 4.5%~5.0%.
  • 영향: 대출 부담 대폭 감소, 주택 가격 6~8% 상승, 투자 수요 급증.

비관적 시나리오 (인하 지연 또는 동결):

  • 1분기 CPI가 예상(2.8%)보다 높거나 무역전쟁 리스크 완화 시 인하 지연.
  • 기준금리: 3.85%~4.1% 유지.
  • 모기지 이율: 변동 5.8%~6.3%, 고정 5.4%~6.0%.
  • 영향: 대출 부담 지속, 부동산 시장 성장 둔화.

주요 변수

  • 1분기 CPI (발표 예정):
  • 근원 인플레이션 2.8% 예상. 2~3% 유지 시 25bp 인하 확실, 0.5% 이하 시 50bp 인하 논의 가능.
  • 3% 초과 시 인하 지연 가능성.

  • 무역전쟁 리스크:
  •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로 즉각적 충격 완화, 그러나 장기적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
  • ANZ: 호주 수출의 미국 비중 5%로 직접 타격 제한, 심리적 영향(소비/투자 위축) 더 큼.

  • 고용 데이터:
  • 4월 실업률 급등 시 50bp 인하 가능성 상승, 안정 시 25bp 유지.

추가 고려사항

  • 고정금리 경쟁: 맥쿼리(5.19%)를 시작으로 고정금리 인하 경쟁 가속화. Canstar(Sally Tindall)에 따르면 더 많은 은행이 고정금리 인하 가능성.
  • 부동산 시장: 금리 인하로 대출 여력 증가, 2025년 주택 가격 4~6% 상승 예상. 시드니, 멜버른 중심 수요 증가.
  • 재융자 트렌드: 고정금리 상품(특히 2~3년) 선호도 상승, 변동금리 대출 재융자 수요 증가.
  • 글로벌 요인: 미국 금리 인하 속도, 중국 경제 회복 여부, 트럼프 관세 정책의 구체화가 호주 경제에 간접 영향.

정리 및 권고

  • 현재 이율:
  • 변동금리: 5.8%~6.3% (기존 6.0%~6.5%에서 하락).
  • 고정금리: 5.4%~6.0%, 맥쿼리 5.19%로 최저.

  • 5월 전망:
  • 25bp 인하(3.85%) 기정사실, 50bp 인하 가능성은 낮음(CPI 0.5% 이하 및 실업률 급등 필요).
  • 모기지 이율: 변동 5.5%~6.0%, 고정 5.0%~5.5%로 추가 하락 예상.

  • 2025~2026년 전망:
  • 기준금리: 2025년 말 3.35%~3.6%, NAB 전망 2026년 2.6%.
  • 모기지 이율: 변동 5.3%~5.8%, 고정 5.0%~5.5% (낙관적 시나리오 4.5%~5.0%).

권고:

  • 대출자: 고정금리(특히 맥쿼리 5.19% 등 저금리 상품) 또는 변동금리 재융자 검토. 1분기 CPI 발표 후 최종 결정 권장.
  • 주택 구매자: 금리 인하로 구매 여력 증가, 그러나 주택 가격 상승 리스크. 2025년 상반기 구매 적절.
  • 투자자: 금리 인하와 부동산 시장 활성화로 투자 기회 증가, 장기 관점에서 2025년 진입 고려.
  • CPI 관망: 다음 주 발표될 1분기 CPI(2.8% 예상)가 결정적. 2~3% 이하 시 인하 확정, 초과 시 변동성 주의.

더 구체적인 정보는 은행 웹사이트(CBA, Westpac, ANZ, NAB, Macquarie) 또는 금융 비교 플랫폼(Canstar, Finder)을 참고하세요.

#호주모기지 #RBA금리 #금리인하 #부동산시장 #모기지이율 #호주경제 #변동금리 #고정금리 #CBA모기지 #Westpac모기지 #ANZ모기지 #NAB모기지 #Macquarie모기지 #글로벌무역전쟁 #인플레이션 #트럼프관세 #CPI발표 #재융자 #주택가격 #투자전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