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안전한관계
- 호주정보
- 호주스포츠
- 정신건강
- 트렌드를따르다
- 브리즈번
- 호주부동산
- 티스토리챌린지
- 주4일학교운영
- 호주경제
- 호주문화
- 호주보건인력난
- 오블완
- 호주인권
- 호주정신건강
- 크리켓역사
- 결국은이게흐름
- 정신건강과인권
- 호주무료법률자문
- 호주여행
- 호주생활
- 호주방문
- 지옥
- 그럼기회는
- 호주룰축구
- 퀸즐랜드
- 호주
- 크리켓
- 호주이민
- 파트너비자
- Today
- Total
목록호주정신건강 (4)
선 출발 후 수습

정신건강과 인권은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차별 없이 존엄성을 존중받으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UN)은 정신건강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호주도 이를 기반으로 법률과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1. 정신건강과 인권의 핵심 원칙✅ 1) 차별 금지(Non-discrimination)정신질환을 이유로 고용, 교육, 의료 서비스, 주거 등에서 차별받지 않아야 함.호주 장애차별법(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2, DDA) 은 정신질환을 장애로 인정하고 법적으로 보호함.✅ 2) 자유와 자율성(Autonomy & Freedom)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도 자신의 치료와 생활 ..

호주는 연방 차원의 인권법(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 Act 1986,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2 등)을 운영하지만, 각 주 및 준주(State & Territory)별로도 독립적인 인권법(Human Rights Acts)이 제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주가 독립적인 인권법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 주는 특정 법률을 통해 인권 보호를 시행하고 있습니다.1. 호주 각 주 및 준주의 인권법 현황2. 정신건강 관련 법률적 함의✅ 1) 인권법이 있는 주 vs. 없는 주의 차이ACT, VIC, QLD처럼 독립적인 인권법이 있는 주는 정신건강 환자의 권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예: 환자가 강제 치료를 받는 경우 법적으로 ..

Lived Experience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Lived Experience 워크포스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보건 및 지역사회 서비스 분야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대표합니다. 이 접근법은 1980년대 후반부터 정신 건강 영역에서 조금씩 싹트기 시작했으며, 서비스 사용자의 경험을 전문적 지식의 중요한 원천으로 인정하기 시작했습니다.용어의 정의Lived Experience는 개인이 직접 경험한 도전, 고통, 회복의 여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개인적 경험을 넘어, 시스템적 이해와 전문적 통찰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지식 체계로 인정받고 있습니다.호주 맥락에서의 Lived Experience 워크포스법적, 정책적 프레임워크호주 정부와 주정부 차원에서 Lived Experience 워크포스의 중요성을 ..

품행장애(Conduct Disorder)는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반사회적, 공격적, 규칙 위반 행동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신건강 장애입니다. 이러한 행동 문제는 학업, 사회적 관계, 가정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조기 발견과 다각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호주와 한국의 품행장애 실태와 현황, 개입 방법, 그리고 MST(Multisystemic Therapy, 다체계 치료법)를 포함한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룹니다.1. 실태 및 현황호주유병률: 청소년의 약 3-5%가 품행장애를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사회적 영향:품행장애는 낮은 학업 성취, 폭력적인 행동, 청소년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특히 소득 수준이 낮거나 가정 내 폭력이 있는 환경에서 발생률이 높게..